위키백과에서 인용
완전경쟁이란 경제학에서 말하는 이론적인 시장모형으로, 생산자와 소비자가 시장의 가격 결정에 아무런 영향을 미칠 수 없는 시장을 말한다. 완전경쟁시장은 경제적으로 봤을 때 효율성이 극대화되기 때문에 경제적 잉여가 최대인 상태이지만, 현실적으로 존재할 수 없는 이론적인 모형이다.
완전경쟁시장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크게 4가지 가정을 하고 있다.
1. 다수의 수요자와 공급자 : 시장에서는 다수의 생산자와 소비자가 존재하므로 개별 생산자, 소비자는 가격에 아무런 영향을 미칠 수 없다. 즉 시장에서 결정된 가격을 주어긴 것으로 받아들이는 가격수용자로 행동한다.
2. 재화의 동질성 : 모든 생산자가 생산하는 제품은 대체가능하며, 아무런 차이가 없는 동질적인 제품이다.
3. 자유로운 진입과 퇴거 : 생산요소의 완전이동성이 가능하므로 기존 생산요소를 이용해서 다른 재화를 생산하는 데 아무런 제약이 없다. 즉 특정 산업으로의 진입과 퇴거가 완전히 자유롭다.
4. 완전한 정보 : 모든 경제주체가 완전한 정보를 보유하고 있으므로 정보 비대칭성이 발생하지 않고, 일물일가의 법칙이 성립한다.
----------
----------
인터넷 인용
이상의 조건들을 모두 갖춘 시장의 예를 현실에서 찾아보기란 매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그런데도 경제학자들이 완전 경쟁 시장에 각별한 관심을 쏟는 데는 나름대로 이유가 있다. ... 완전 경쟁 시장을 이상적으로 보는 이유는 이 시장에서 자원이 효율적으로 배분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이 시장에서는 어떤 이유에서 효율적인 자원 배분이 이루어질 수 있는가? ... 경쟁의 압력이 워낙 거세기 때문에 모든 기업이 효율적인 운영을 하지 않을래야 않을 수 없다는 사실을 상기하는 것만으로 족하다.
그런데 완전 경쟁 시장에 대해 한 가지 명백히 해야 할 사실이 있다. 이 시장을 하나의 이상적인 시장 형태로 보는 것은 오직 효율성의 관점에서 그럴 뿐이지 공평의 관점에서 ... 는 ... 분배상태가 반드시 공평하리라는 보장이 없다 ... .
자료 : 최영규, 경제학 나들이, 퇴설당
----------
----------
인터넷 인용
"완전경쟁시장=완전한 낙원"이라는 관계가 성립할 수 있다고 말하고 있는 것인가? 결론부터 말하자면, '아니다.'
... 어째서 완전경쟁시장은 '낙원'이 될 수 없는가?
... 경제학에서 대표적인 Trade-off(상충)관계는 바로 바람직한 분배 상태를 달성하기 위한 두 가지 조건, 즉 효율과 공평성이라는 두 요소 사이에 존재한다. ... 우리가 완전경쟁시장에서 기대할 수 있는 것은 오직 효율성과 관련된 성과일 뿐이다. 둘 중에 하나는 포기되어야겠기에, 우리는 완전경쟁시장에서 효율성의 측면에서 다른 어떤 시장(독점 등)보다도 우월한 성과를 얻는 대신, 공평성의 차원에서는 다른 어떤 시장과 크게 비견될 만한 뚜렷한 성과를 기대해서는 안 된다.
----------
----------
야후 사전
이상 : <명사> 생각할 수 있는 가장 완전한 상태
----------
----------
야후 사전
낙원 : <명사> 늘 편안하고 즐겁게 살기 좋은 곳
----------
위 내용을 정리하면 완전경쟁시장은 경제학에서 생각한 가장 완전한 상태일 뿐 편안하고 즐겁지는 않다는 의미가 되며 그 이유는 생산, 분배의 효율은 보장되지만 공평이라는 문제는 시장 스스로의 힘으로 해결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문제의 기본 상황 : 초등학생인 x, y 이렇게 2명으로 구성된 한 학급에서 시험을 보면 x는 늘 100점, y는 늘 0점을 받는다.
문제1
만약 y가 컨닝을 해서 100점을 받는다면 이는 다음 중 어디에 해당할까?
a. 공평
b. 공정
c. 불공평
d. 불공정
e. 답 없음
해설 : y의 컨닝으로 x, y 모두 같은 점수를 얻어 공평해졌지만 컨닝은 반칙이므로 불공정하다 말 할 수 있으므로 답은 a, d
문제2
만약 어떤 이유로 y가 x의 공부를 방해해서 x가 0점이되었다면 이는 다음 중 어디에 해당할까?
a. 공평
b. 공정
c. 불공평
d. 불공정
e. 답 없음
해설 : a, d
문제3
만약 y가 공부를 미친 듯해서 y가 100점을 벋는다면 이는 다음 중 어디에 해당할까?
a. 공평
b. 공정
c. 불공평
d. 불공정
e. 답 없음
해설 : a, b
문제4
x의 100점은 불법과외에 의한 것이고 y의 0점은 y가 소년(또는 소녀)가장으로 공부할 시간이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이라면 이는 다음 중 어디에 해당할까?
a. 공평
b. 공정
c. 불공평
d. 불공정
e. 답 없음
해설 : 완전 이기적, 완전 합리적인 경제인만이 존재하는 완전경쟁시장의 관점에서는 '문제4'의 경우를 상상할 수 없으므로 답은 e
이하는 아무 근거 없는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한 것입니다.
누가 효율을 공평 보다 더 중요한 가치라고 주장하는가?
공산주의는 몰락했고 자본주의는 살아남았다.
공산주의를 찬양하던 이론은 몰락했고 자본주의를 찬양하던 이론은 살아남았다.
공산주의가 몰락할 때 공산주의의 문제점도 몰락했고 자본주의는 생존하면서 자본주의의 문제점은 살아남았다.
체제 몰락 후에도 체제의 우수성을 알리기 위한 수단이 살아남았다는 것은 참으로 웃기는 일이다.
경제학의 목적은 궁극적으로 인간의 삶을 윤택(공정한 공평)하게 만드는 것이지 체제의 우수성(효율)을 홍보하는 수단은 아니지 아니한가.
체제를 위한 자체 검열을 버린 보다 인간을 위한 따뜻한 경제학이 마샬의 생각이 아닐까 생각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