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4월 14일 수요일

경제용어1 : 기펜재

----------
야후 사전에서 인용

기펜재 : 열등재는 그 가격이 상승하면 소득의 감소에 따라 오히려 그 수요량이 증가하고, 따라서 그 소득효과는 (+)의 값이다. 이 경우 대부분의 열등재는 (-)의 대체효과가 (+)의 소득효과보다 크기 때문에 두 효과를 합친 가격효과는(-)이다. 그러나 (+)의 소득효과가 (-)의 대체효과를 압도하여 가격효과가 (+)가 되는 열등재가 있는데, 이러한 상품을 기펜재라 한다.
----------

위의 설명을 그래프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습니다.

----------
경제학콘서트2 : 팀 하포드 : p43-p45

바탈리오와 케이겔은 동료인 칼 코것과 함께 100년 동안 풀리지 않은 미스터리를 풀어보기로 했다. 그들은 쥐에게 두 가지 음료 중 하나를 (가격과 예산의 제약을 받는 조건 하에서) 선택하게 했다. 하나는 ... 루트비어(root beer : 독특한 맛이 나는 무알콜 탄산음료)였고 나머지 ... 는 쓴 맛이 나는 탄산수였다. 쥐들은 쓴맛을 좋아하지 않았 ... 다. 여러분이 쥐라고 상상해보라. ... 루트비어는 맛이 있지만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타협을 할 수밖에 없다. ... 이제 탄산수의 가격을 다소 올려서 전보다 적은 양을 제공한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 여러분이 똑똑한 쥐라면 제공되는 탄산수의 양이 여전히 루트비어의 양보다 많은 한, 아무리 탄산수 값이 올라도 더 많은 탄산수를 마실 것이다. 가격뿐만 아니라 예산까지 고려하여 행동하기 때문이다. ... 쥐들은 탄산수 값이 올라갈 경우 오히려 더 많은 탄산수를 소비함으로써 1895년부터 제기되었던 "기펜재"는 존재하는가?라는 수수께끼를 풀어주었다.
----------

----------
인터넷에서 인용

예 : 돼지고기 값이 폭락하면 돼지고기를 많이 먹을 수도 있지만 전보다 똑같거나 더 적은 돼지고기를 사먹고 그 남은 돈으로 쇠고기를 사먹는 사람도 있을 수 있다. 그런 사람에게는 돼지고기는 기펜재가 됩니다.
----------

----------
위키디피아에서 인용

마셜의 1895년 경제학원론에서 기펜이 말한 것처럼 빵의 가격이 올라 그것이 가난한 자들의 수입을 흡수하고 그들에게 한계효용을 다른 것으로 올릴 수가 없을 때 그들은 고기와 다른 전분음식의 수요를 줄이고 뻥이 가장 그들에게 싼 음식이기 때문에 빵의 소비를 늘리고 줄이지 않는다.
----------

----------
위키디피아에서 인용

아일랜드의 대기근 때의 감자는 오랜 시간 동안 유일한 기펜재의 예로 믿어져 왔다. 하지만 그 이론은 시카고 대학의 셔윈 로젠 교수의 '감자의 역설'이라는 논문에 의해 뒤집어졌다. 로젠은 이 현상이 평상시의 수요 모델로 설명될 수 있음을 증명해 보였다.
----------

----------
인터넷 상의 시카고 저널이라는 곳에서 인용

Potato Paradoxes
Sherwin Rosen
University Chicago and the Hoover Institution

Price and quantity data prove that Irish potatoes in the 1840s were not Giffen goods. Intertemporal trade-offs required by the fact that a sizable fractiono of the potato crop is needed for seed crops can produce unusual market dynamics. The Irish experience is well described by a normal demand model in which a permanent decline in the productivity was at first mistaken as a transitory crop failure. These mistakes provoked "oversavinong" of seed crop in a population in dire circumstances. With the benefit of hindsight, consumption of seed crop capital was warranted. Erroneous expecations of potato productivity by growers delayed necessary agricultural adjustments and contributed to the catastrophe laser on

인터넷에서 한글로 된 '감자의 역설'을 찾았는 데 찾기가 어렵더군요. 그래서 구글에서 영어쪽 사이트를 검색하니 요 글이 있길래 인용했습니다. 그리고 영어를 잘 몰라서 글은 원문 수정 없이 그대로 이기했습니다.
----------

경제학콘서트2처럼 실험적으로 가능하고 로젠 교수의 '감자의 역설'처럼 이론적으로 아닐 수도 있다는 얘기가 되는 군요. 쩝. 먼 소리인지 모르겠군요.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