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동경제학 : 도모노 노리오 : p187-p188
선택의 대안은 많을수록 좋을끼? ... 에 의문을 던진 시나 아이옌거와 마크 레퍼는 재미있는 실험을 했다.
... 그들은 ... 6가지 고급 초콜릿과 30가지 고급 초콜릿으로 ... 실험을 했다. ... 실험 참자가 초콜릿 1개를 골라 자유롭게 시식하고 맛에 대해 10점 만점을 기준으로 평가하도록 했다. 6가지 초콜릿 중에서 선택한 사람들이 내린 평가의 평균치는 6.25였는데, 30가지 초콜릿 가운데 선택한 사람들이 내린 평가의 평균치는 5.5였다.
... 아이옌거는 ... 선택 대안이 너무 많으면 오히려 잘못된 선택을 하지는 않을까 하는 일종의 후회스러움 또는 실패할지 모른다는 감정에 빠질 수도 있다고 지적한다.
----------
----------
골드 미스다이어리 : 크리스틴 B. 휄런 : p29
이제 결혼은 의무가 아니라 선택의 문제가 되었다. 특히 여성의 경우, 높은 학력과 많은 연봉은 결혼에 대한 선택의 폭이 더 넓다는 것을 의미한다. 현대의 여성들은 단지 경제적 안정을 누리기 위해서, 또는 30대 노처녀가 되는 것이 두려워 절박한 심정으로 결혼을 선택하지 않는다. 그보다는 두 사람이 얼마나 동등하게 결혼을 통해 성장해 나갈 것인지, 그리고 두루두루 자신과 얼마나 잘 맞을 것인지 등을 고려하여 배우자를 고른다.
----------
<'고현정, 노현정' 결혼 보고 느낀 점>
<가상의 자료>
등급 --- 남자수 --- 여자수 --- 확률 --- 결혼쌍
1등급 -- 20 -------- 20 -------- 1/1 --- 4
2등급 -- 20 -------- 20 -------- 1/2 --- 4
3등급 -- 20 -------- 20 -------- 1/3 --- 4
4등급 -- 20 -------- 20 -------- 1/4 --- 4
5등급 -- 20 -------- 20 -------- 1/5 --- 4
<조건>
남자 총수 : 100명
여자 총수 : 100명
<가정1>
1등급 남자와 5등급 여자 결혼할 확률 : 1/5
1등급 납자와 4등급 여자 결혼할 확률 : 1/4
...
1등급 남자와 1등급 여자 결혼할 확률 : 1/1
<가정2>
결혼 순서는 1등급-5등급, 1등급-4등급, 1등급-3등급, 1등급-2등급, 1등급-1등급 순임.
<생각1>
5등급 여인은 1등급 남자를 만날 기회가 적을 것이므로 결혼할 확률이 1/5로 낮지만 누구와 결혼할지를 가지고 고민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일 먼저 결혼을 한다고 가정하였고, 1등급 여인은 만날 기회가 많으므로 결혼할 확률을 1/1로 높지만 여러 사람 중 한명을 골라야하기 때문에 가장 늦게 결혼한다고 가정하였음.
<생각2>
1등급 여성이 여러 결혼상대로 고민하며 나이를 먹을 때 그들의 경쟁자인 2-5등급 여인들이 1등급의 남자와 결혼을 하므로 나이 먹은 1등급 여성에 비해 나이 먹은 1등 남자가 적으므로 (또는 희소하므로) 희소한 1등급 남성과 결혼하든지 아니면 2-5등급 남성과 결혼을 해야 하므로 나이 먹은 1등급 여성의 가치는 폭락한 것처럼 보임.
즉, 단순히 여성이 나이를 먹어서 가치가 떨어지는 것이 아닌 (동급이나 상위 등급의) 남성의 결혼 등에 의한 희소성의 변동으로 가치가 떨어진 것임을 알 수 있음.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