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4월 15일 목요일

이론과 현실2

----------
비열한 시장과 도마뱀의 뇌 : 테리 번햄 : p63

"시장은 대부분의 사람들을 실패하게 하는 쪽으로 움직인다." 월스트리트의 격언이다. 역행투자자들(일반적인 투자자들과 반대 방향으로 투자하는 투자자들)에게는 "시장은 사람들이 낙관적으로 바라볼 때 하락하려 하고, 비관적일 때 상승하려 한다"는 이야기가 전해내려 온다.
----------

----------
비열한 시장과 도마뱀의 뇌 : 테리 번햄 : p78

전망이란 미래 수익의 예측자이다. 낙관적인 기간은 약세장으로 이어지는 경향이 있고, 비관론은 좋은 소식 직전에 퍼지는 경향이 있다. 월스트리트는 욕망과 두려움에 의해 움직인다. 재미있는 것은 도마뱀의 뇌(비합리적으로 의사결정을 하게 하는 인간의 본성)는 우리가 두려워해야 할 때 욕망을 자극하고, 욕심을 부려야 할 때 두려워하게 만든다는 것이다.
----------

----------
비열한 시장과 도마뱀의 뇌 : 테리 번햄 : p87-p88

나는 바바라와 사귀기 시작했다. 그녀에게 EMC 주가가 100달러에서 50달러 이하로 떨어지면 결혼하 ... 겠다고 이야기 했다. 나는 쇼트포지션으로 EMC의 주가가 떨어진다는 쪽에 베팅을 했다. ... 그러나 EMC ... 주식에 대한 모든 뉴스와 정보는 EMC의 매력을 예찬했고 ... 월스트리트의 애널리스트들과 펀드 매니저들이 TV에 나와 EMC의 시장이 성장하고 있으며, 이 주식은 '생각할 필요도 없는', '반드시 소유할' 주식임을 설명했다. ... EMC ... 주가는 ... 실제로 100달러 이상에서 4달러 이하까지 추락했다.
----------

----------
비열한 시장과 도마뱀의 뇌 : 테리 번햄 : p75

버논 스미스 교수 등의 학자들은 가공의 주식 시장에도 버블의 붕괴가 발생한다는 점을 알아냈다. 이 실험에서 사람들은 진짜 돈으로 주식을 매매했다. 실제 주식 시장과 다른 점이 있다면, 실험 참가자들의 주식의 실제 가치를 안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참가자들은 주식거래에 의해 주가는 비합리적으로 높은 가격까지 상승했다가 곧바로 급락했다.

가공의 주식 시장 안에서는 버블과 붕괴가 인간의 본성적인 이유 때문에 자연스럽게 발생했다는 것 외에는 다른 설명을 찾을 길이 없다.
-----------

----------
경재학 콘서트2 : 팀 하포드 : p37-p40

미국의 경제학자 교수인 존 리스트 ... 는 다른 경제학자들이 이전까지의 실험실에서 보여줬던, 당혹스러울 정도로 비합리적인 행동을 이해하고 싶었다. ... 리스트는 좀 더 현실적인 실험 환경을 만들 ... 생각을 했다. 그래서 핀을 사거나 팔거나 교환하고 싶어 하는 수 천명의 사람들이 북적이는 전시회장에 매장을 차린 것이다.

그는 사람들에게 설문지를 작성해주면 수집용 핀을 주겠다고 말했다. 사람들이 설문작성을 거의 끝낼 무렵 그는 ... 설문 작성으로 방금 얻게 된 '그들의' 핀을 그냥 가질 것인지, 아니면 다른 핀으로 바꾸고 싶은지를 물었던 것이다.

... 사람들이 두 종류의 핀(발렌타인데이나 성패트릭데이 문자가 새겨진 핀) 중 자기가 원하는 핀을 받았을 확률은 50퍼센트였기 때문에 교환을 원할 가능성도 50퍼센트여야 했다. 그렇지만 소유효과는 ... 사람들이 원래 받았던 것에 계속 집착하게 했다. ...제의를 받아들여 핀을 교환한 사람은 다섯 명 중 한 명도 되지 않았다.

(그러나) 리스트는 핀 수집 경험이 있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서 자신의 제안을 받아들일 가능성이 더 높다는 것을 알아냈다. 노련한 수집가들은 ... 합리적인 사람이라면 으레 그럴 것이라고 예상했듯이 리스트의 제안을 절반 정도 받아들였다.
----------

이론이라 할 수 있는 리스트의 핀 수집 실험에 등장하는 전문가는 합리적 의사결정을 하고 현실의 월스트리트의 전문가는 EMC의 경우처럼 비합리적인 의사 결정을 하는 이 상호 모순되는 결과가 발생한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그 중 월스트리트의 전문가의 허위정보 제공 가능성에 대해 검토해보겠습니다.

월스트리트 전문가인 펀드 매니저는 본인에게서 TV를 통해 무료로 정보를 제공받는 사람과 본인의 정보를 유료로 제공 받는 사람과 차이 없이 동일한 정보를 제공할 인센티브(=동기)는 없으며 오히려 저의 이전 글인 '피해자겸 가해자'의 경우처럼 본인의 유료로 정보를 얻는 사람을 위해 무료로 정보를 제공 받는 사람의 이익을 해할 가능성이 보다 높다고 생각함이 합리적이라고 판단되는 군요.

즉 전문가는 도마뱀의 뇌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일반인의 도마뱀 뇌를 이용하여 자신의 정보를 유료로 얻는 사람들이 이익을 볼 수 있게 할 인센티브를 가진다는 겁니다.

인센티브가 있다고 우리 모두가 부도덕한 행동을 하란 보장도 없으니 이건 단순한 상상일 뿐입니다. 또한 월스트리트의 전문가뿐 아니라 거의 모든 경제전문가들의 예측 역시 틀리기 일 수이고요.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