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4월 11일 일요일

평균소득2 : (비)정규직임금

----------
평균소득1 요약

최하위 직급에서는 승진이 더 연봉이 높은 상위직으로의 승진 가능성을 열어주므로 이 직급에 속한 사람에게 굳이 임금 인상을 많이 해줄 필요가 없을지도 모른다. ... 상위직급에 많은 임금을 지급하는 ... 급여체계의 경우 근로자의 입장에서는 ... 본인의 승진 여부 등 불확실성이 증대되고 승진을 하더라도 그것은 미래의 일이 되므로 이자 성격의 추가 임금 인상을 원하게 됩니다.
----------

위 글중 승진을 (정규직으로의)취업으로, 직급은 직종(또는 비정규직)으로 변경하여 다시 쓰면 아래와 같음.

최하위 직종(또는 비정규직)에서는 취업이 더 연봉이 높은 상위직으로의 (또는 정규직으로의) 취업 가능성을 열어 주므로 이 직종에 속한 사람에게 굳이 임금 인상을 많이 해줄 필요가 없을지도 모른다. ... 상위직종에 많은 임금을 지급하는 ... 급여체계의 경우 근로자의 입장에서는 ... 본인의 취업 여부 등 불확실성이 증대되고 취업을 하더라도 그것은 미래의 일이 되므로 이자 성격의 추가 임금 인상을 원하게 됩니다.

만약 김군이라는 학생이 비정규직인 편의점 아르바이트를 한다고 생각해보자. 그는 그 편의점 일을 계속할 의사가 없으므로 편의점 아르바이트 근로자의 급여인상이나 근로조건 등에는 무관심해질 것이며 그가 재화나 용역 구입에 필요로 하는 돈의 대부분은 그의 부모에게서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김군은 부모의 도움 없이 구입해야 하는 일부의 재화나 용약에 필요한 돈을 벌기 위해 잠간동안 하는 아르바이트에서 근로의 대가 보다 낮은 임금을 수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김군은 직장 내 승진의 경우처럼 보다 급여나 근로조건이 좋고 상당한 기간(또는 평생) 근로를 해야 하는 정규직으로의 취업을 하려고 할 때 아르바이트 기간 동안에 손해를 정규직으로의 취업에서 만회하려 들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런데 이 경우 정규직으로 취업을 시키려는 회사의 입장에서는 김군의 만회에 필요한 급여를 추가로 지급할 이유가 없으므로 김군은 실업자가 될 것이다.

<문제1> 김군이 취업을 하기 위한 최선의 방법은?
a. 어차피 과거의 손해는 현재 만회가 불가능하므로 눈높이를 낮춰 취직한다.
b. 답 없음.

<문제2> 김군 같은 실업자를 막기 위한 최선의 방법은?
a. 아르바이트의 근로 가치와 급여를 일치시키도록 최저임금 인상 등을 한다.
b. 눈높이를 낮추라고 설득한다.
c. 답 없음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