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동경제학 : 도모노 노리오 : p237-p238
사람들의 사회적 행동을 확인하기 위해 '공공재 게임'이라는 실험 게임이 자주 이용된다. 이 게임에서는 몇 명, 예를 들면 4명으로 그룹을 만들고 각 개인에게 초기 자금으로 1,000원씩 준다. 각 개인은 1,000원 중 얼마를 그룹(공공)을 위해 지출할 지 결정한다. 실험자는 각 개인의 기부금을 합하고, 이를 2배하여 그것을 전원에게 균등하게 배분한다.
자신은 한 푼도 기부하지 않고 다른 사람만 기부한다면, ...자신의 몫은 2,500원이 되기 때문에 이 같은 '무임승차'는 매력적이 아닐 수 없다.
반대로 자신은 1,000원 전액을 냈는데 다른 사람은 '0'원을 기부했다면, 자신의 몫은 500원뿐이다. ... 결과적으로 손실이 발생하였다.
----------
----------
행동경제학 : 도모노 노리오 : p238
공공재 게임 실험은 수없이 행해져 왔지만 대략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우선 매회 구성을 달리하야 10회 반복 시행하기로 한다. 처음에는 평균적으로 초기 보유액의 30-40%를 기부하는 협력 행동이 나타나지만, 협력의 정도는 점차 감소한다. 10회째에는 10% 정도까지 떨어져버린다.
----------
----------
행동경제학 : 도모노 노리오 : p240-p242
협력관계는 어떻게 ... 유지되는 것일까? 협력을 촉진하는 제도로서 처벌의 역할이 점점 커지고 있다는 사실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
페르와 게비타가 실시한 ... 실험은 처벌이 없는 게임을 먼저 6회 실행하고, 이어서 처벌이 있는 게임을 6회 실행했다. 그 결과, 처벌이 없을 때는 평균 협력률이 1회 55%에서 6회째는 30%로 점차 감소해갔다. 그러나 처벌이 있을 때에는 평균 협력률은 1회 60%에서 6회째는 85%로 착실히 증가해갔다.
----------
----------
행동경제학 : 도모노 노리오 : p243
그러면 처벌의 비용이 높아지면 처벌은 실행될까? 이 의문에 대해서 앤더슨과 퍼터먼이 답변한다. 그들의 실험에서는 처벌 비용이 높아지면 처벌이 감소한다는 수요의 법칙에 따른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
----------
행동경제학 : 도모노 노리오 : p244-p245
'제3자 처벌 게임' 이라는 게임 조건은 다음과 같다. 즉 구성원 2명이 죄수의 딜레마를 실행하여 협력과 배신 두 가지 방법을 동시에 선택한다. 게임은 반복하지 않고 1회만 실시한다.
... 이 실험의 결과도 매우 흥미롭다. 이 게임은 반복 없이 1회 한정 게임이며, 제3자를 포함한 게임의 익명성이 보장되기 때문에 제3자가 자기의 이익을 고려하여 처벌을 실행한다고는 도저히 생각할 수 없다. 그럼에도 처벌은 실행되었던 것이다.
----------
처벌(=사회 유지를 위한 행동)은 효익인가 아니면 비용인가?
위 예를 종합하면 처벌은 처벌자에게 하나의 기쁨을 (또는 불만족을 제거해) 주는 상품일 수 있겠단 생각이 듭니다. 이렇게 생각하면 이기적인 인간의 행동이 사회를 이타적으로 만드는 것이죠. 즉, 시장이 아닌 곳에서도 보이지 않는 손이 작동하여 개인의 사익 추구가 전체의 선(=이타심)을 증가시킨 것이 됩니다.
a. 만족(=기쁨)인 경우
만족-비용이 양이면 처벌을 행함. 그러나 만약 처벌이라는 상품 외에 만족-비용의 차가 더 큰 것이 많으면 처벌이 없을 수 있음. 즉 만족 추구는 어떤 일의 지속이유를 설명하는 데에는 좀 부족함.
b. 불만족의 경우
불만족(감소에 의한 상대적 만족)-비용이 양이면 처벌을 행함.
c. 우선순위에 따른 경제행동과 그 결과 정리
- 만족을 얻는 것이 우선인 경우 : 처벌은 a처럼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음.
- 불만족 제거가 우선인 경우 : (예산을 초과할 만큼 불만족의 건이 많지 않으면) 처벌은 지속될 수 있음.
- 만족과 불만족을 동시에 고려할 경우 : 처벌은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음.
'금강산도 식 후 경'이라는 말도 있듯이 일반적으로는 불만족 제거가 우선하고 그 다음 만족 추구를 하는 것(또는 동일 비용으로 만족을 얻는 것 보다 불만족을 제거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인 것)으로 생각하는 것이 타당함. 따라서 사회질서에 반한 사람에 대한 처벌이 지속되어 사회 질서의 유지도 가능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d. 결론
만족 추구에 기반을 둔 사회 질서는 없어질 수 있으나 불만족 제거에 기반을 둔 사회 질서는 없어지기 어려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