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4월 25일 월요일

10번찍어안넘어가는x없다

1. 안 넘어가는 나무 없다.

내가 나무꾼이고 네가 나무이면 나는 좋다.

반대로 내가 나무이고 네가 나무꾼이면 나는 기분 나쁘다.

나무와 나무꾼의 지위가 계속 바뀌면 세상은 계속 넘어가게 된다.

이게 먼 소리냐?

2. 안 넘어가는 나무꾼 없다.

나무를 10번 찍었는데 나무가 안넘어가면 우리는 어떻게해야하나?

위 속담이 일반적으로 사실이라면 언제 넘어갈지 모르는 나무와 씨름하는 것 보다 옆에 있는 나무를 찍어 보는 것이 나름 좋은 전략이 될 수도 있을 듯합니다.

즉, 10번은 한 측면에서는 성공 또는 무엇인가를 얻기 위한 최대한의 노력 또는 인내의 한계점이라 할 수 있고 이는 다른 측면에서는 무엇인가를 얻기를 포기(하는) 점이라고 할 수 있을 듯합니다.

여기서 나무를 경쟁자라 생각하면 우리는 10번까지는 경쟁자에 대한 도전할 수 있지만 그 이상은 도전을 포기하는 도전의 포기점으라 생각할 수 있을 듯합니다.

이 경우 나와 나무 또는 경쟁자와는 자연스럽게 위계 또는 계급이 형성됩니다.

이것의 좋은 점은 사회의 안정, 혼자 보다 더 큰 집단의 이익 보장 등 쉘링점 비슷한 것을 제공한다는 점입니다.

3.  안 넘어가는 (또는 속는) 청자 없다.

...

2011년 4월 10일 일요일

견우와 직녀

----------
댄 애리얼리, 경제심리학에서 인용

----------

1-1. 가정

이 세상에는 견우 10명과 직녀10명이 있다.

이들은 1년에 한번 만날 수가 있다.

각각의 견우,  직녀는 1번에서 10번까지의 번호로 구분되며 이 번호는 변경 불가능하다.

즉 견우1, 견우2, ... 견우10과 직녀1, 직녀2 ... 직녀10이 있다.

각각의 견우와 직녀는 자신 보다 높은 숫자의 이성과 사랑을 하려한다.

1-2. 1부1처제의 탄생

위 가정 하에 견우들과 직녀들은 자신과 다른 숫자를 가진 이성을 만날 수 없으므로 1부1처제가 탄생한다.

2-1. 가정의 변경

이 세상에는 견우 10명과 직녀10명이 있다.

이들은 1년에 한번 만날 수가 있다.

각각의 견우, 직녀는 1번에서 10번까지의 번호로 구분되며 이 번호는 1년에 한번씩 변경 된다.

즉 전년도 1번 견우가 금년은 견우10이 되고 내년에는 견우 3이 될 수 있고 전년도 직녀8은 금년은 직녀2가 되고 내년은 직녀5가 될 수 있다.

각각의 견우와 직녀는 자신 보다 높은 숫자의 이성과 사랑을 하려한다.

2-2. 1부1처제의 붕괴

가정 상 당연한 얘기지만 매년 상대의 숫자가 달라지므로 매년 전년도와 같은 견우와 직녀가 만날 일은 별로 없음.

따라서 1부1처제는 성립할 수 없음.

3-1. 좀 현실적인 가정

견우의 숫자는 사회적 지위를 직녀의 숫자는 나이를 의미한다.

3-2. 좀 더 현실적인 바람의 등장 (완만한 경우능력이 변동되는 경우)

능력있는 견우와 젊은 직녀가 1년에 한번 사랑하게 됨.

그런데 직녀는 매년 등급이 낮아짐. 따라서 결혼을 통한 1부1처제를 원함.

견우의 능력도 매년 변경 가능하므로 등급 하향의 위험을 회피하기 위해 직녀와 결혼을 통한 1부1처제를 원함.

여기서 견우와 직녀의 차이가 발생

직녀는 실제로 매년 등급이 낮아지지만 견우는 확률적으로 낮아짐. 다른 말로 등급이 일정하거나 오히려 올라갈 수도 있음.

견우가 합리적이라면 자신의 현재 및 미래의 등급은 확률에 의한 것이므로 1부1처제는 유지하려하지만 현재의 자신의 등급도 향유하려고 할 것임.4.

즉, 합리적인 견우는 1부1처제를 유지한 채로 젊은 직녀와 만날 수 있음.

4. 참 다행이다 ? ? ?

3-1번의 가정처럼 현실은 바람이 존재할 수 있지만 결혼은 계속 유지 된다.

2011년 4월 5일 화요일

영화 : 랭고


1. 관전 포인트 하나

어른 취향의 서부 영화, 아이 취향의 만화 영화

2. 관전 포인트 둘

어른에게는 흡입력 없는 만화 줄거리, 아이에게는 아무런 향수도 없는 서부 영화 이야기

홈페이지 : http://www.rango2011.co.kr/